其他

2018 중국 카페사업 발전 현황 및 전망

2018-03-14 上海village

   

1. 중국 카페사업 발전 현황


□ 중국에는 차() 문화가 성행하여 커피 소비량이 적었으나 급격한 경제발전을 이루며 점차 새로운 소비습관의 일부로서 커피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2007년 중국 카페 수는 1.6만개 수준이었지만 2017년에는 9.8만개에 달했으며 동기대비 약 15.6% 증가함

  

□ 카페 수 증가에 따라 2013-2017 중국 카페사업 시장규모 역시 매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를 보임. 2017년 중국 카페사업 시장의 규모는 약 209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10% 증가한 수치임

 

□ 카페사업 시장규모 확대에 따라 중국 토종브랜드 및 외국의 커피 체인점이 잇달아 개점함

 

- 스타벅스는 2017년 말을 기준으로 중국 내 2,936개의 매장을 보유하며 중국 체인 카페시장의 51%를 차지하고 있음

- 샹다오커피(ubc커피)는 중국 토종브랜드로 전국 약 1,000개의 매장을 보유하며 판매루트의 우위를 점유

 

2. 중국 카페사업 시장 확대 추세


□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카페사업 시장규모와 커피 소비량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중국 카페사업 시장규모는 몇 년간 11-15%의 증가 속도를 유지하며 2023년까지 479억 위안의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 커피를 소비하는 신 소비집단은 개성 있고 품질이 좋은 커피를 선호하며 핸드드립커피, 더치커피, 사이폰커피 등 유명 브랜드 커피 제조방식에 열광함

- 중국상담투자망이 발표한 <2017-2021년 중국 카페사업 투자분석 및 전망 예측 보고>에 따르면, 중국 커피 소비량은 매년 15-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 전망 및 시사점


□ 시장 경쟁이 치열하고 점포 임대료 상승의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임. 그 예로, 간소하게 매장을 운영 가능한 특성이 있어 이동커피차가 중국 커피 시장의 새로운 소비를 주도하고 있음

- 대표적으로 2014년 창립한 Wheelys 커피는 소형의 커피차() 형태로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을 갖추어 중국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음

 

□ 카페는 상대적으로 동질화되기 쉬운 업종이기 때문에 신속한 상품 개발이 중요함. 커피의 맛이나 추출 방식을 다양화 시키는 것에서부터 다양한 종류의 커피 용기를 개발하는 등 창의적인 노력이 요구됨

 

- 플랫 화이트, 질소 커피에서 아주 농도가 진한 커피까지 점점 창의화 된 상품들이 나타나고 있음. 전통적인 커피 잔에 국한되지 않고, 음료병, 맥주병 등 새로운 커피 용기도 등장함. .

   

□ 출처: 전망산업연구원(2018-01-26), 중국산업경제뉴스망 (2017-11-13) 및 현지 언론  종합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