查看原文
其他

[힐링] 영원한 삶은 가능할까…당신의 '한계 수명' 아시나요?

2016-10-06 조글로 zoglo.net 潮歌网


영원한 삶은 가능할까…미국 연구팀 '115세가 한계 수명'


1997년 122세로 숨진 역대 최고령자 장 칼망의 1996년 모습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수명 늘었지만 한계 달해…그 이상 될 확률 사실상 '제로'"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인간의 수명은 과학과 의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연장되는 것일까? 아니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길어질 수 없는 한계치가 있는 것일까?

인간 수명의 한계를 놓고 이 같은 논쟁이 수십 년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간이 살 수 있는 최장 수명이 115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와 AP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얀 페이흐(Jan Vijg) 박사가 이끄는 미국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대 연구팀은 전세계 다양한 연령대의 사망률과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 최근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나이별 인구수를 조사해 매해 가장 성장률이 빠른 나이가 몇 살인지 비교해봤다.

인구수가 아닌 인구 성장률인 만큼 젊은층보다 노령층이 높았는데,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이는 지난 세기 동안 점점 늦춰지다가 110세 언저리에서 멈췄다.

예를 들어 1920년대 프랑스에서 가장 인구 증가가 빠른 나이는 85세였다. 그랬던 것이 점점 늦춰지다가 1990년대 102세에 달했고 현재는 110세에서 멈춰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다른 전 세계 40개국의 데이터에서도 같은 경향을 발견했다.

아울러 1960년대 이후 전 세계 최고령자의 나이를 살펴봤더니 1968년 111세였던 것이 1990년대 115세로 늘어났고, 이후 예외적인 1명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115세보다 더 오래 살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공식 출생증명서로 나이를 인정받은 인류 역사상 최고령자는 지난 1997년 122세로 세상을 떠난 프랑스 여성 장 칼망으로, 이후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다.

연구팀은 115세보다 더 오래 사는 인물이 장 칼망처럼 나올 수는 있겠지만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봤다.

얀 페이흐 박사는 "장 칼망은 명확한 예외로, 한해에 115세보다 더 나이가 많은 사람이 나올 확률은 1만분의 1 수준"이라며 "평균 기대 연령이 오랫동안 상승한 끝에 지금에서야 인간이 주어진 수명의 천장에 도달할 만큼 오래 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계에서는 이번 발표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수명 연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시카고 일리노이대의 제이 오샨스키 교수는 "기술로 생명을 더 연장하는 데 성공한다면 수명의 한계는 깨질 것"이라며 "얼마나 많이 깨질지는 혁신이라는 (인간의) 본성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가장 완벽한' 한국인 유전체 지도 완성

아시아 전체 기준 될수있어

서울대 의대·마크로젠 연구진

아시아 최초 독자적 구축
서양인과 다른 구조 밝혀


한국인 고유의 유전 정보를 반영한 ‘유전체(유전자+염색체) 지도’가 완성됐다. 아시아에서 독자적으로 구축된 첫 유전체 지도다. 이 유전체 지도가 한국인을 비롯해 아시아인을 위한 맞춤형 치료와 신약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지 크게보기

◆아시아 최초 유전체 지도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와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를 구축했다고 6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유전체 지도는 2003년 미국에서 완성한 지도(GRCh38)가 국제적인 기준이 됐다. 이 지도는 백인과 흑인의 유전체 정보를 반영한 것이어서 아시아인의 유전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건강한 한국인 남성의 유전 정보를 기준으로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 서양인과는 다른 1만8000개 유전적 구조를 밝혀냈다. 기존에는 알 수 없던 190개 유전 정보의 절반 이상인 105개 정보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장기 이식을 할 때 거부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유전자와 몸 안에서 약물을 흡수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 유형 등도 규명됐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최신호에 실렸다.

네이처는 세계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는 가장 완벽에 가까운(most contiguous) 지도”라며 “특정 인종을 기준으로 한 최초의 표준 유전체 지도”라고 평가했다.

◆탄력받는 신약 개발

표준 유전체 지도는 개인의 유전 정보를 분석할 때 기준이 된다. 최근 맞춤형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표준 유전체 지도가 수립된 덕분이다. 세계 연구진은 유전체 지도로 특정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를 밝혀내거나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에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가 완성되면서 한국인에게만 나타나는 유전적 특징을 더 정확히 알 수 있게 됐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아시아에서는 최초의 표준 유전체 지도기 때문에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치료 연구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마크로젠 회장)은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는 아시아인 전체의 기준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 약 45억명의 아시아인을 위한 정밀의료(맞춤형 치료)를 선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


 

아래의 阅读原文을 클릭하면  힐링 제1집150편을 볼수 있습니다.






아래의 阅读原文을 클릭하면  힐링 제1집150편을 볼수 있습니다.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